빅토리아주 엠폭스 발병 증가

빅토리아주에서 엠폭스 발병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Renaming Monkeypox

This image shows a colorized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monkeypox particles (red) found within an infected cell (blue) (AAP Image/NIAID via AP, File) Credit: AP

Key Points
  • 지난 3개월간 76명 감염
  • 작년 단 8명 감염
  • 수석의료관, 접촉자 추적 조사 위해 “성 파트너 반드시 기록할 것”
  • 고위험군, 남성과 성관계 하는 남성
  • 최선의 예방법, 28일 간격 두고 2번 백신 접종
빅토리아주에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발병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빅토리아주 수석의료관은 접촉자 추적 조사를 위해 성 파트너를 반드시 기록할 것을 요청했다.

빅토리아주에서는 지난 3개월 동안 76건의 엠폭스 감염 사례가 기록됐고, 이는 지난해 기록된 단 8건과 극명히 비교된다.

클레어 루커 주 수석의료관은 사람들이 성 파트너들의 연락처를 반드시 기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성 파트너의 수를 줄이고, 성적 접촉 횟수도 줄일 것을 권고했다.

엠폭스의 주된 감염 경로는 성 접촉이며, 특히 남성과 성관계를 하는 남성이 고위험군이다.

엠폭스 감염 위험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최소 28일 간격을 두고 두 번의 백신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다.

하지만 빅토리아주 최대 공공 보건 서비스 제공 기관 모나시헬스(Monash Health)의 공공보건 및 감염예방 전문가 론다 스튜어트 교수는 백신 접종을 완료했더라도 여전히 엠폭스에 감염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튜어트 교수는 “엠폭스 백신은 물론 엠폭스 감염 위험을 낮추고, 중증 위험도 실제 낮추지만 두 차례 백신을 맞은 사람이더라도 고위험군에 속하고 많은 성 접촉을 할 경우 여전히 엠폭스에 감염될 수 있다”고 설명헸다.

그는 “따라서 두 차례 백신 접종 완료가 엠폭스 감염을 막는다는 의미는 아니며, 여전히 검사를 받고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hare

Published

Presented by Euna Cho
Source: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