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3월 실업률 5.2%로 소폭 상승... 코로나19 제한 조치 영향 반영 안 돼

People are seen queuing outside a Centrelink office in Bondi Junction, Sydney.

People are seen queuing outside a Centrelink office in Bondi Junction, Sydney. Source: AAP

연방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고용 지표가 훨씬 더 악화할 것이라면서도 정부 정책이 이 타격을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3월 호주 실업률은 계절조정 수치로 5.2%를 기록해 2월 5.1%에서 0.1% 포인트 상승했다.

이것은 전문가들이 예측한 5.4%보다 한참 낮은 수치이다.

지난달 풀타임 직이 400개 감소했지만, 파트타임 일자리가 6,400개 증가하면서 전체 취업자 수가 5,900명 늘었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술집, 클럽, 식당, 카페 등에 대한 영업 제한 조치의 영향이 이 수치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았다며 4월 실업률이 크게 올라갈 것으로 전망한다.  

미케일리아 캐쉬 연방 고용 장관은 앞으로 몇 달 간 실업률이 더 오를 것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정부의 ‘일자리 지키기(JobKeeper)’ 보조금이 많은 사람의 실직을 막아줄 것이라고 말했다.

캐쉬 장관은 “이 기간이 코로나19의 영향을 반영하지 않음을 정부가 먼저 인정했고, 실업률이 6월 약 10%에 달할 것이고 재무부도 이 점을 분명히 했다.”며 “정부가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 정책을 시행하지 않았다면 실업률이 이보다 훨씬 더 높은 15%까지 치솟았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실업률 10%는 140만 명가량이 실업 상태에 놓이게 됨을 의미한다.

80만 개가 넘는 사업체가 이미 일자리 지키기 임금 보조 프로그램에 등록했고, 수십만 명이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신청했다.

연방 노동당은 최신 실업률이 노동 시장 내 고질적 문제와 일자리 지키기 수당 지급 대상 확대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노동당 예비 고용 장관 브렌든 오코너 연방 하원의원은 이것이 호주에 실업자가 아주 많음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말했다.

또 캐쥬얼 직원에게도 일자리 지키기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실업률이 훨씬 더 악화할 것이라며 정부에 지급 대상 확대를 요구했다.

오코너 의원은 “우리가 해당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재무장관이 그 법에 따라 캐쥬얼 직원에게 보조금이 적용되도록 신청을 변경할 수 있다.”며 “의회가 부여한 권한을 이용해 캐쥬얼 근로자가 포함되도록 신청 대상을 확대할 것을 정부, 재무장관에게 요구하고, 그렇지 않으면 실업률이 상승에 상승을 거듭할 것”이라고 말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
호주 3월 실업률 5.2%로 소폭 상승... 코로나19 제한 조치 영향 반영 안 돼 | SBS Korean